오늘은 식상생재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상생재란?
식상생재(食傷生財)는 네 글자를 나눠서 이해하면 됩니다.
식신(食神), 상관(傷官) → 줄여서 ‘식상(食傷)’
재성(財星) → 재물, 돈, 현실적인 성취
식상생재란?
식상이 흘러 재성을 생하게 된다. 즉 식상의 활동으로 재를 벌어들인다로 보시면 됩니다.
식상(食神, 傷官)이란?
나(일간)가 생(生)하는 오행을 말하는데 나의 표현력과 창의성, 말, 음식, 아이디어, 생산성, 나로부터 나올 수 있는 모든 것들이 해당됩니다. 예술, 콘텐츠, 기술, 말재주 등 실질적인 활동력을 말합니다.
재성(財星)이란?
나를 극(剋)하는 오행으로 돈, 재물, 현실적인 성과, 소비자, 남자기준으로 부인이 될수도 있으며 현실 사회에서 내가 얻고자 하는 목표나 결과물을 말합니다.
식상생재 구조란?
식상 → 재성을 생(生)하는 구조, 즉 내가 움직이고 말하고 만들어 내는 모든 행위(식상)가 재물(재성)을 끌어온다는 뜻입니다.
유튜버나 작가, 디자이너, 요리사, 트레이너처럼 자신의 능력(식상)으로 수익(재성)을 창출하게 됩니다. 사업가라면 아이디어(식상)로 상품을 만들고, 판매(재성)를 한다가 됩니다.
말 잘하는 영업직이라면 말이 식상에 해당하고 돈이 그 결과물인 재성이 됩니다.
식상이 강아하고 재성이 따라와준다면, 프리랜서형, 1인 크리에이터형, 창의 기반 사업가형 사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식상생재가 잘 작동하려면?
식상과 재성이 둘 다 적당히 강하고 조화로워야 합니다.
식상만 강하고 재성이 없으면 노력은 많지만 돈이 안될수 있으며
재성만 강하고 식상이 약하면 돈이 눈앞에 있어도 만들 능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식상이 강한 사람과 재성이 강한 사람이 만나면 좋은 협업이 가능하게 됩니다.
식상생재란 내가 가진 재능과 활동으로 현실적인 재물을 만들어낸다는 명리학적 흐름입니다. 특히 크리에이터, 프리랜서, 장영업자, 예술가형 사주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 구조가 잘 갖춰진 사람은 노력 → 표현 → 수익이라는 선순환이 이루어집니다.
만약 자신의 사주에 식상생재 구조가 있다면, 자신만의 능력과 콘텐츠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는 것이죠.
예를 들어보면:
사주는 시주 | 일주 | 월주 | 년주 , 천간 지지 총 8글자로 구성됩니다.
여기서 일간(日干)이 '나' 자신을 나타내고 다른 모든 글자는 나를 기준으로 어떤 관계냐를 판단하게 됩니다.

만약 내가 갑(甲) 일간이라면 목(木)되는데, 목(木)이 생하는 화(火)가 식상이 되면 목(木)이 극하는 토(土)가 재성이 됩니다.
그래서 갑(甲) 일간인 사람의 식상은 병(火), 정(火)이 되고 무(土), 기(土)는 재성이 됩니다.

갑(甲)오(午)일주인 위 명식같은 경우에
午(일지), 寅(지장간), 丙(시간)의 식상에 해당하는 글자가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戊(月간)가 있으므로 재성도 강하게 투출되어 있다고 봅니다.
식상이 재성을 생하는 구조가 명확하게 형성됩니다. 자신의 재주, 능력, 아이디어로 재성을 추구하는 명으로 살가는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활동(식상)하면 돈(재성)이 따라오는 사주입니다.
식상생재 구조를 가진 사람의 성향은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기대함으로 성과지향적이며 현실적입니다. 식상이 있으면 말과 표현력이 풍부해짐으로 예술적 능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활동이 곧 수익으로 연결됨으로 직장보다는 자기 사업을 하게 되는데 장사나, 창작, 유튜버, 콘텐츠 제작등을 하게 됩니다. 자신의 능력으로 먹고 살게 됨으로 남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자기 능력으로 돈을 벌려고 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식상이 너무 강하고 재성이 없으면?
열심히 하는데 돈이 안됩니다. 노력 대비 수익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성이 너무 강하고 식상이 없으면?
기회는 있지만 실행력이 부족하게 됩니다.
재성이 식상에 묻혀 있고 극하지 않으면?
돈은 있지만 통제가 불가능합니다.
나와 음양이 같으면 '정재', 음양이 다르면 '편재'가 됩니다.
정재는 정직하고, 안정적이며 근면하고, 책임감있는 성격이 될 가능성이 크고
재물을 취득하는 방식도 월급이나 고정 수입, 규칙적인 수익을 추구하게 됩니다.
재물에 대한 태도도 보수적이며 절약형이 됩니다.
정재는 남자 사주에서 배우자가 됩니다.
편재는 활동적이며, 외향적이고, 재물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보다 자유롭고 그 폭이 넓게 사용하게 됩니다. 한방 수익이라든지, 영업, 사업, 복권등의 형태를 연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소비에 있어서도 과감하며, 크게 소비합니다.
남자 사주에 편재가 있으면 애인이나 외부 여성, 여성의 외적 매력에 끌리게 됩니다.
사주에서 식상과 재성은 ‘능력 → 돈’으로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흐름입니다.
“내가 움직이면 돈이 된다”는 구조가 잘 형성되어 있다면,
자기 능력 기반의 자립과 창업에 적합한 팔자라 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