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목일주 사주풀이 “너는 누구냐?”

을목일주는 목중에 음목에 속하며, 덩굴이나 풀과 같은 부드럽고 유여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향은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나타나며, 겉으로는 부드럽지만 내면에는 강한 의지와 생명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덩굴이 주변을 감싸며 자라는 것처럼, 을목일주는 주변 환경을 활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보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생존하고 번창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어집니다. 실용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재물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 Read more

갑목일주 사주풀이 “너는 누구냐?”

갑목일주는 사주의 첫 글자, ’천간’에서 양의 나무를 뜻하는 ‘갑(木)’이 ‘일간’에 있는 경우입니다. 갑목일주는 막 태어난 어린아이의 순수하고 넘치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즉흥적이며 돌발적인 행동을 서슴치 않게 하는 태도를 볼 수 있으면, 감정상태나 기분에 따라 행동하는 기분파가 많습니다. 갑목은 자연에서 거대한 나무를 의미합니다. 단단하고 곧으며, 자라나려는 에너지가 강합니다. 갑목 일주는 이러한 나무처럼 올곧은 가치관과 뚜렷한 목표를 가진 … Read more

수다목부 사주란? 물이 많아 나무가 뜬다

수다목부(水多木浮)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물이 많아 나무가 뜬다”는 뜻입니다.. 사주팔자에서 수(水)의 기운이 과도하게 많고, 그에 비해 목(木)이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중심을 잡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여기서 ‘뜨는 목’은 뿌리를 내리지 못한 나무, 즉 삶의 중심이 흔들릴 수 있음을 암시해요. 이런 구조는 한편으로는 풍부한 기회와 감수성을 의미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방향성을 잡기 어렵고 현실에 쉽게 흔들릴 수 있는 … Read more

식상생재사주는 어떤 삶을 살게 될까

오늘은 식상생재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상생재란? 식상생재(食傷生財)는 네 글자를 나눠서 이해하면 됩니다. 식신(食神), 상관(傷官) → 줄여서 ‘식상(食傷)’재성(財星) → 재물, 돈, 현실적인 성취 식상생재란?식상이 흘러 재성을 생하게 된다. 즉 식상의 활동으로 재를 벌어들인다로 보시면 됩니다. 식상(食神, 傷官)이란? 나(일간)가 생(生)하는 오행을 말하는데 나의 표현력과 창의성, 말, 음식, 아이디어, 생산성, 나로부터 나올 수 있는 모든 것들이 해당됩니다. 예술, 콘텐츠, … Read more

인비식 사주 특징, 대박나는 대운

인비식 사주 특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인성(편인, 정인), 비견, 식상(식신,상관)만으로 이루어진 사주가 인비식 사주이다. 이때 지장간에도 재성과 관성이 없어야 완전한 인비식 사주가 된다. 인성과 비견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인비사주, 비견과 식신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면 비식사주, 인성과 비견, 식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인비식 사주가 되는 것이다. 일간인 나를 생해주는 인성과 내가 생을 해주는 식상으로 이루어진 사주이다. 이때 재성과 관성이 지장간에도 … Read more

도화, 이성을 끌어당기는 매혹적인 기운

십이신살중 하나인 도화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화의 아름다운 향기에 취한 벌들이 모여든다. 도화살: 많은 사람으로부터 주목을 받는 힘 사주 지지에 子 午 卯 酉(자오묘유)가 있으면 도화라고 하는데요. 십이운성으로 년살이 도화에 해당합니다. 子 午 卯 酉(자오묘유) 각 계절의 삼합중 왕지에 해당하는 글자로 그 계절의 특성을 가장 강하게 발산하는 글자입니다. 도화살은 화개살, 홍염살에 이어 삼대 매력살에 해당합니다. 사주 … Read more

명리학(60갑자)사주팔자의 개념

명리학에서 60갑자는 단순한 조합을 넘어, 사람의 타고난 운명, 성격, 관계, 인생 흐름을 해석하는 핵심도구입니다. 1. 60갑자의 본질은 ‘시간의 코드’ 명리학은 사람이 태어난 시간(연, 월, 일, 시)에 담긴 자연의 기운을 해석하는 학문인데요. 이때 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게 바로 60갑자입니다. 천간(10개): 음양오행의 기운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12개): 지상의 현실적인 에너지(시간과 계절적 … Read more

기토탁임(己土濁壬)

기토탁임(己土濁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토탁임(己土濁壬)은 큰 물인 임수(壬水)가 기토라는 흙탕물을 만나 물이 흐려진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1. 기토(己土)란? 오행에서 ‘토(土)’의 음(陰) 성질을 가진 논밭, 땅, 기름진 토양을 의미하는데요. 성격으로 보면 섬세하고, 포용력 있으며, 다정한 성질을 말합니다. 하지만, 습기를 많이 머금도 있으면 탁해질 수도 잇는 성향이 있습니다. 2. 임수(壬水)란? 오행에서 ‘수(水)’의 양(陽) 성질을 말합니다. 물상적으로 바다, 큰 … Read more